Why Are U.S. States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nd Why Are Some Boundaries Straight?
미국 지도를 보면 흥미로운 점이 하나 있습니다.
서부로 갈수록 주(State)들의 경계가 직선으로 딱 나뉜 경우가 많고, 동부 쪽은 울퉁불퉁 복잡한 경계를 가지고 있죠. 또 어떤 주는 엄청 크고(예: 텍사스), 어떤 주는 아주 작습니다(예: 로드아일랜드).
왜 이렇게 된 걸까요? 그 이유는 미국의 역사적 확장 과정과 측량 방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When you look at a map of the United States, you notice something interesting.
In the West, many state borders are straight lines, while in the East, borders are irregular and winding. Some states are huge (like Texas), while others are very small (like Rhode Island).
Why is this? The answer lies in U.S. historical expansion and surveying methods.
🌳 동부 주(東部州): 자연지형과 식민지의 흔적
Eastern States: Natural Features and Colonial History
미국 동부는 17~18세기 유럽에서 온 이민자들이 가장 먼저 정착한 지역입니다.
당시 경계는 강, 산맥 같은 자연지형을 기준으로 삼았고, 측량 기술도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울퉁불퉁한 경계가 만들어졌습니다.
The Eastern U.S. was the first region where European settlers arrived in the 17th–18th centuries.
Boundaries were often based on natural features such as rivers and mountains, and because surveying technology was limited, borders became irregular and uneven.
예를 들어:
- **펜실베이니아와 메릴랜드의 경계(Mason-Dixon Line)**는 측량사가 직접 걸어서 측정하며 만든 경계입니다.
- 강을 따라 경계를 정한 주들도 많습니다.
For example:
- The Pennsylvania-Maryland border (Mason-Dixon Line) was measured on foot by surveyors.
- Many states used rivers to define their borders.
📏 서부 주(西部州): 직선 경계의 비밀은 ‘측량법’
Western States: The Straight-Line Borders and the Land Ordinance
서부로 갈수록 주의 경계가 바둑판처럼 직선인 이유는 ‘공공토지 측량법(1785)’ 덕분입니다.
미국 정부는 서부로 영토를 확장하며 토지를 효율적으로 나누기 위해 가로·세로 6마일 단위로 땅을 격자처럼 쪼개 직선 좌표로 경계를 정했습니다.
In the West, borders are straighter because of the Land Ordinance of 1785.
As the U.S. expanded westward, the government divided land into 6-mile squares and set state borders using straight survey lines.
예:
- 콜로라도는 거의 완벽한 직사각형입니다.
- 와이오밍 역시 직선 경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Examples:
- Colorado is almost a perfect rectangle.
- Wyoming also has straight-line borders.
📐 주 크기의 차이는 왜 생겼을까?
Why Are States Different in Size?
미국 주들의 크기는 역사와 정치적 타협의 산물입니다.
동부 초기 13개 주는 각 식민지가 제멋대로 땅을 차지해 크기가 일정치 않았고, 서부로 갈수록 연방 정부가 직접 관리해 크기가 비교적 일정해졌습니다.
State sizes are products of history and political compromise.
The original 13 colonies in the East claimed land independently, so sizes varied. In contrast, Western states were organized by the federal government, making them more uniform.
예:
- 텍사스는 독립국이었다가 미국에 합류하며 큰 땅을 유지.
- 로드아일랜드는 작은 식민지 규모 그대로 유지.
Examples:
- Texas retained its large size when it joined as a former independent republic.
- Rhode Island kept its small colonial boundaries.
🌍 왜 ‘정사각형 주’가 더 많지 않을까?
Why Aren’t There More Perfect Square States?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위도·경도에 따라 직선을 긋다 보면 북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집니다. 또한 산맥, 강, 철도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경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Because Earth is round, lines of latitude and longitude converge toward the poles, distorting square borders. Natural features, railroads, and settlements also influenced boundaries.
그래서 콜로라도나 와이오밍은 직사각형에 가깝지만 완벽히 정사각형은 아닙니다.
Thus, states like Colorado and Wyoming look rectangular but aren’t perfect squares.
🤓 재미있는 주 경계 이야기
Fun Stories Behind State Borders
미국 주 경계에는 흥미로운 사건들이 많습니다:
- 아이도호-몬태나: 측량 실수로 비뚤어진 경계.
- 미시간-오하이오 ‘톨레도 전쟁’: 주 경계로 인한 무력 충돌.
- 유타: 정치 갈등으로 영토 축소.
There are many fascinating border stories:
- Idaho-Montana: A surveying mistake skewed the line.
- Michigan-Ohio "Toledo War": A border dispute led to military conflict.
- Utah: Lost territory due to political disputes.
🔑 정리하면
In Summary
- 동부: 자연지형·식민지 경계 → 복잡
- 서부: 측량법 적용 → 직선 중심
- 크기: 역사 + 정치적 협상 결과
- East: Natural/colonial borders → irregular
- West: Surveyed borders → straight lines
- Size: History + political compromise
🌟 결론: 지도 속에도 역사가 숨어 있다
Conclusion: History Hidden in the Map
미국 지도 속 직선과 곡선에는 개척 시대의 흔적과 정치적 타협, 과학적 측량의 발전이 담겨 있습니다.
다음에 지도를 볼 땐, 단순한 선이 아니라 역사와 과학을 떠올려보세요.
The lines and shapes on the U.S. map reveal a story of frontier expansion, political negotiation, and scientific surveying.
Next time you look at a map, think of the history and science behind those b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