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중등 영어수행 예시] Why Do We Have Wars?

learnall 2025. 7. 29. 10:00

📌 저작권 및 이용 안내 (Copyright Notice)

본 글은 중학교 2 & 3학년 수준의 영어 수행평가 예시 자료로 작성되었으며,
저작권은 “LearningGuide”인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본 자료는 자유롭게 읽고 학습 참고용으로 활용하실 수 있으나,
무단 복제, 배포, 전체 또는 일부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률에 따라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 LearningGuide. All rights reserved.


 

Why Do We Have Wars?

When I hear the word “war,” it immediately brings painful images to my mind—ruined cities, crying families, and countless lives lost. It makes me wonder why wars have continued for centuries. Although there are countless reasons, I would like to explain three key causes from my perspective.

First, wars often begin with a tyrannical leader. Such a leader is filled with greed and believes he is always right, even when his actions harm millions. History shows that many wars started because of one person’s desire for power and control.

Second, wars are caused by extreme ethnocentrism—when people think their race or culture is superior to others. In some cases, they even dehumanize others, comparing them to insects or animals. This dangerous mindset creates hatred and leads to violent conflict.

Third, competition between nations can also lead to war. Some countries want to advance their military power or technology more quickly than their rivals. Instead of cooperating, they may exploit weaker nations, using their people or land for selfish experiments or expansion.

In conclusion, wars bring nothing but catastrophic destruction and deep devastation. They create poverty, suffering, and countless innocent deaths. To prevent this, we must valu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Dialogue is the strongest tool we have. Before taking any violent action, leaders must think deliberately and consider peaceful solutions first.

Ultimately, war is not an answer but a failure of humanity to solve problems wisely. If we commit to empathy, education, and respect, we can build a future where war is no longer necessary.


왜 우리는 전쟁을 하나요?

전쟁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폐허가 된 도시, 울부짖는 가족, 수많은 희생자가 떠오릅니다. 왜 전쟁이 수세기 동안 반복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세 가지 큰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전쟁은 종종 폭군 같은(tyrannical) 지도자 때문에 시작됩니다. 이런 지도자는 탐욕에 가득 차 있고 자신이 옳다고만 믿으며 수많은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둘째, 극단적인 **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가 전쟁을 일으킵니다. 자신들의 인종이나 문화가 **우월하다(superior)**고 믿고 다른 사람들을 벌레처럼 취급하면 증오가 생기고 결국 전쟁으로 이어집니다.

셋째, 국가 간 경쟁도 전쟁의 원인입니다. 일부 국가는 기술과 군사력을 빨리 발전시키려는 욕심에 약한 나라를 침략하거나 그 땅과 사람들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전쟁은 파괴적(catastrophic) 피해와 깊은 **황폐(devastation)**만 남깁니다. 이를 막기 위해 우리는 대화와 이해를 중시해야 합니다. 폭력을 선택하기 전에 신중하게 (deliberately) 생각하고 평화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결국 전쟁은 해결책이 아니라 인류의 실패입니다. 공감과 교육, 존중을 통해 전쟁 없는 미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필수 어휘 정리]

  1. Tyrannical – 폭군의, 전제적인
  2. Ethnocentrism – 민족중심주의
  3. Superior – 우월한
  4. Catastrophic – 파괴적인
  5. Devastation – 대규모 파괴
  6. Deliberately – 신중하게

📑 중요 문법 정리

문법 요소예문설명
1. 관계대명사 (Relative Clauses) wars often begin with a tyrannical leader who believes he is always right. 관계대명사 who가 선행사 "leader"를 수식하며 부가 정보를 제공.
2. 부정어 + 강조 표현 (Nothing but / Not… but) wars bring nothing but catastrophic destruction. nothing but은 "오직 ~뿐"의 의미로 부정적인 결과를 강조.
3. 현재완료 시제 (Present Perfect) wars have continued for centuries.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상황을 나타내는 현재완료 시제.
4. 가정/의무 표현 (Modal verbs for necessity) we must value communication to prevent wars. must는 강한 의무와 필요성을 나타냄.
5. 부사 위치와 강조 (Adverb Placement & Emphasis) leaders must think deliberately before acting. 부사 deliberately가 동사를 수식하며 행위의 방식을 강조.
6. 명사화된 개념 사용 (Nominalization) extreme ethnocentrism causes conflict. 동사적 의미를 명사화(ethnocentric → ethnocentrism)하여 추상적 개념 설명.
7. 조건부 의미의 표현 (If-conditional nuance) If we commit to empathy, we can build a future without war. 조건절을 사용하여 "만약 ~하면 ~할 수 있다"는 미래 조건을 제시.
8. 평행 구조 (Parallelism) empathy, education, and respect 나열 시 같은 품사(명사)를 반복적으로 사용해 문장 균형 유지.
 

 활용 포인트

  • 관계대명사 현재완료 시제는 중3~고1 수준에서 자주 평가되는 문법 요소.
  • nothing but 같은 강조 표현은 작문에서 높은 수준의 표현력을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