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 및 이용 안내 (Copyright Notice)
본 글은 중학교 2학년 수준의 영어 수행평가 예시 자료로 작성되었으며,
저작권은 “LearningGuide”인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본 자료는 자유롭게 읽고 학습 참고용으로 활용하실 수 있으나,
무단 복제, 배포, 전체 또는 일부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 법률에 따라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 LearningGuide. All rights reserved.
✅ English Version
All teenagers go through a stormy period called adolescence. During this time, they often show a tendency to avoi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ey also argue with their parents over trivial things. Unfortunately, these arguments usually end without compromise. In this speech,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tip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and their parents.
First, teenagers are very sensitive and often feel sad over small things. This means they can be easily hurt by others, especially their friends. When teenagers fight with their friends, they need someone to talk to. I think the best people to comfort them are their parents. Just talking to their parents about what happened can help them feel more relaxed and supported.
Next, many teenagers don't spend enough time with their parents. However, this habit can make their relationship worse. I suggest that teenagers share hobbies with their parents, such as watching movies or going shopping. By doing fun activities together, they can enjoy their time and build stronger bonds.
Lastly, teenagers often want to keep some distance from their parents and may become less friendly than before. I recommend that teenagers remember family anniversaries, such as their parents’ birthdays or wedding anniversaries. Simply saying “Happy Birthday!” on that day can make their parents feel very touched and happy.
It may not be as easy as it sounds, but I believe it’s worth trying. If teenagers follow these tips, they can go through adolescence with fewer conflicts and build a better future for themselves.
🇰🇷 2. 한글 해석본
청소년과 부모 사이의 더 나은 관계
모든 청소년은 사춘기라는 격동의 시기를 겪습니다. 이 시기 동안, 청소년들은 부모와 대화를 피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사소한 일들로 부모와 자주 다투기도 합니다. 안타깝게도, 이런 다툼은 대부분 양보 없이 끝나버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소년과 부모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첫째, 청소년은 매우 민감하고 사소한 일에도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특히 친구들과의 갈등에서 감정이 상하기 쉽습니다. 이럴 때 청소년은 누군가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싶어합니다. 이때 그들을 가장 잘 위로해줄 수 있는 사람은 부모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부모에게 일어난 일을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한결 편해질 수 있습니다.
둘째, 많은 청소년들은 부모와 함께 시간을 충분히 보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런 습관은 오히려 관계를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청소년이 부모와 영화 보기나 쇼핑 같은 취미를 공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서로 좋아하는 활동을 함께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관계도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은 종종 부모와 거리를 두고 싶어 하며 예전보다 덜 다정해집니다. 이럴 때 가족의 기념일을 기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의 생일이나 결혼기념일이 있습니다. 단지 “생일 축하해요!”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부모님의 마음을 감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들이 말처럼 쉽지는 않겠지만,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방법들을 따른다면, 청소년들은 사춘기를 덜 갈등 속에서 보내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입니다.
📘 3. 각 문장별 문법 설명
All teenagers go through a stormy period called adolescence. | go through는 "겪다", called adolescence는 과거분사로 'adolescence(사춘기)'를 설명하는 수식어입니다. |
During this time, they often show a tendency to avoi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 show a tendency to는 "하려는 경향을 보이다", to avoid는 to부정사 용법 (목적). |
They also argue with their parents over trivial things. | argue with는 '~와 다투다', over trivial things는 '사소한 일에 대해'. |
These arguments usually end without compromise. | end without는 "~없이 끝나다", compromise는 "타협". |
Teenagers are very sensitive and often feel sad over small things. | sensitive는 형용사로 '민감한', feel sad는 감정 동사. |
They can be easily hurt by others. | can be hurt는 수동태 (can + be + p.p.), by others는 행위자 표시. |
They need someone to talk to. | someone to talk to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생략 구조. |
Just talking to their parents... can help them feel more relaxed. | talking to는 동명사 주어, help + 목적어 + 동사원형 구조. |
They don't spend enough time with their parents. | don't spend는 현재 일반 부정문, with는 함께 하는 대상을 나타냄. |
I suggest that teenagers share hobbies... | suggest that + 주어 + 동사원형: 제안 표현의 가정법 현재 용법. |
By doing fun activities together, they can enjoy their time. | By ~ing는 수단/방법을 나타내는 전치사 + 동명사 구조. |
Teenagers often want to keep some distance from their parents. | want to + 동사원형, keep distance from은 관용 표현. |
I recommend that teenagers remember family anniversaries. | recommend that + 주어 + 동사원형: 제안/추천의 가정법 현재. |
Just saying “Happy Birthday!” can make their parents feel touched. | can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형용사: 사역동사 make 용법. |
It may not be as easy as it sounds, but I believe it’s worth trying. | as ~ as: 비교 구문, worth ~ing: ~할 가치가 있다. |
They can go through adolescence with fewer conflicts. | fewer는 셀 수 있는 명사의 비교급, go through는 경험하다.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감동 실화에서 영감을 받은 소설 | A Novel Inspired by a True Story (7) | 2025.07.28 |
---|---|
😷✨ "내 얼굴이 뭐 어때서?" – 원더가 알려준 진짜 용기 이야기 ("What’s Wrong with My Face?" – A True Story of Courage from Wonder) (13) | 2025.07.25 |
[중등 영어수행 예시] AI, 우리의 친구일까? 아니면 미래의 지배자일까? (6) | 2025.07.24 |
📘 우리 아이 영어교육, 이대로 괜찮을까요? (21) | 2025.07.23 |
🤖 AI·유튜브·스마트폰으로 영어공부? 지금 꼭 생각해봐야 할 5가지 (5) | 2025.07.22 |